오늘 아침, 치즈를 덮은 김치볶음밥과 보글보글 끓인 소고기토마토스튜로 밥상을 차렸습니다.
김치볶음밥은 매콤한 김치와 밥을 볶아낸 뒤, 그 위를 모짜렐라 치즈로 덮어 오븐에 구운 형태.
겉은 노릇하고 속은 뜨거운 이 그라탕은 겉보기엔 치즈 요리지만, 안을 파보면 한식의 깊은 맛이 숨어 있습니다.
소고기토마토스튜는 토마토와 양파, 당근, 감자, 그리고 큐브로 자른 소고기를 넣고 천천히 끓인 스튜예요.
국물은 새콤하면서도 고기에서 우러난 감칠맛 덕분에 깊고 진합니다.
이 조합은 보기엔 서양식 같지만, 입에 넣으면 어쩐지 한식 밥상 같기도 하죠.
오늘의 밥상은, 겉과 속이 다른 정치의 풍경과도 닮아 있었습니다.
국민의힘이 내놓은 '단일화 쇼', 체코 원전 수주 발표 등, 뉴스에선 그럴듯한 외피로 감싼 메시지들이 쏟아졌습니다.
그러나 그 속을 깊이 들여다보면, 실속은 없는 말잔치 혹은 감추고 싶은 본심이 숨겨져 있다는 생각이 듭니다.
김치볶음밥 위에 치즈를 덮는 건 분명히 맛있으라고, 더 따뜻하게 하려고 덮는 거지만
뉴스에선 치즈처럼 보이는 말들로 진실을 덮는 일이 반복되고 있는 것 같아요.
그에 비해 토마토스튜는 정직했습니다.
재료 하나하나가 다 드러나 있고, 오래 끓인 만큼 그 맛이 깊어졌습니다.
시간이 필요한 요리처럼, 정치도 외교도 충분히 끓여낸 논의와 신뢰가 더 중요하지 않을까요?
오늘 아침 밥상을 먹으며,
‘감춘다고 해서 다 가려지지는 않는다’는 생각이 머리를 스쳤습니다.
우리의 밥상은, 가끔 세상을 돌아보게 하는 거울 같기도 하네요.
**여러분의 오늘 밥상은 어떤 이야기였나요? 댓글로 함께 나눠주세요.**
'밥상일기 > 밥상 위의 세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애호박전은 익어가는데, 누군가는 불을 꺼버립니다. (4) | 2025.05.13 |
---|---|
이번엔 밥까지 비벼졌다. - 메추리알조림처럼, 조화로운 정치를 꿈꾸며. (2) | 2025.05.12 |
향기란, 살아낸 자리에서 나는 것 - 돌미나리 밥상 위의 봄 (2) | 2025.05.08 |
버스는 늦어도, 죽은 먼저 끓여야 하니까. (2) | 2025.05.07 |
제자리를 지켜낸 밥상 - 시금치된장국과 떡갈비 (2) | 2025.05.07 |